판매자에 의한 상표권 침해와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의 법적 책임
인터넷 쇼핑몰(이하 ‘몰’이라고 합니다)의 이용자와 상점 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몰 운영자는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몰 내에서 판매자가 권리 침해 행위를 했을 경우, 몰 운영자가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을까요? 판매자에 의한 상표권 침해가 성립될 때, 몰 운영자도 상표권 침해의 책임을 지는지에 대해 논란이 된 사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사건 개요
‘Chupa Chups’ 상표권을 관리하는 이탈리아 법인이 소를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라쿠텐 시장에서 6개의 상점이 ‘Chupa Chups’ 표시가 달린 상품을 전시하거나 판매하는 것은 상표권을 침해하며, 상품 표시를 이용한 부정 경쟁 행위(일본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해당 상점뿐만 아니라 몰 운영자인 라쿠텐도 책임을 져야 하며, 중지 및 손해배상금 지급을 요구했습니다.
일심은 라쿠텐 시장의 상점 페이지에 등록된 상품의 판매(매매) 주체는 해당 상점 페이지의 각 상점이며, 몰 운영자는 그 주체가 아니라는 등의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도쿄지방법원 2010년 8월 31일 판결)했고, ‘Chupa Chups’ 측은 이에 불복하여 항소를 제기했습니다.
항소심의 논점
본 사건의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에 대한 상표권 침해가 성립하는 것에 대해 당사자들 사이에는 논란이 없었습니다. 주요 논점은 직접 판매 주체가 아닌 ‘Rakuten Market’도 상표권 침해의 책임을 지게 되는지 여부에 대한 관점에서,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
- 상표권 침해는 해당 상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제한되는가
- 판매자가 아닌 사이트 운영자도 상표권 침해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라는 두 가지가 되었습니다.
「Chupa Chups」의 주장
원고는, 논점1에 대해,
“타인이 무단으로 동일 상표를 사용하는 것이 상표권 침해의 전형이지만, 그 외의 유형의 행위라 할지라도 등록 상표의 식별력을 해치고, 지정 상품, 지정 업무의 자기와 타인을 구별할 수 없게 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모두 상표권 침해 행위로서 금지의 대상이 되며, 또한 행위자에게 고의 또는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손해배상 의무를 부담해야 하는 것은 명백하다.”
지적재산고등법원 2012년 2월 14일(2012년) 판결
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상표권 침해는, 해당 상표를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등록 상표의 식별력을 해치고, 지정 상품, 지정 업무의 자기와 타인을 구별할 수 없게 하는’ 등의 행위도 상표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논점2에 대해서는, 원고는 다음과 같이 라쿠텐의 책임을 추구하였습니다. 라쿠텐 시장은 제공해야 할 정보를 선별하고, 독자적인 형식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라쿠텐 시장 내의 상품으로서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적합한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판매자에게 지시하는 등, 상품의 전시에 있어서 중추적인 행위를 하는 전시의 주체이다.
또한, 라쿠텐 시장은 고객으로부터 상품 구매의 신청을 받아들이고, 이를 수령하고, 판매자에게 전송하고, 고객에게 ‘주문 확인 메일’을 발송하는 행위, 상품 배송지 정보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행위,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 카드 회사에 직접 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승인을 얻는 행위 등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행위가 없으면 본건 각 상품의 양도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라쿠텐 시장은 상품의 양도에 있어서 중추적인 행위를 하는 양도의 주체이기도 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라쿠텐 시장은 판매자의 매출에 대해 2~4%의 비율로, 용량제로 ‘시스템 이용료’를 징수하여 실질적으로 판매된 상품의 대금의 분배를 받고 있으며, 판매자와 잠재적 구매자 사이에서 중립적인 입장이 아니라, 판매자와 함께, 또는 판매자를 통해, 판매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라쿠텐의 주장
한편, 라쿠텐은 논점1에 대해, “등록 상표의 사용”에 해당하지 않아도 “등록 상표의 식별력을 해치는” 행위 전체가 상표권 침해가 된다는 원고의 주장은 상표법의 조문에서 벗어나는 것이며, 실정법상의 근거를 가지지 않는 것이라 주장하였습니다. 라쿠텐은 상표법 제36조에 따라 중지 청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상표권을 침해하는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논점2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라쿠텐의 역할은 판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고객과의 거래를 이룰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며, 각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결국 각 판매자이며, 라쿠텐 시장은 거래가 성립된 경우 그 장소의 이용료로서 수수료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일심에서의 주장을 반복한 것입니다.
그리고 판매자가 신규로 입점할 때, 라쿠텐 시장은 규약에 따라 일정한 심사를 하지만, 그것은 결국 해당 사업자가 라쿠텐 시장이라는 “장소”를 제공하는 상대로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심사이며, 입점이 허가되면, 판매자는 사전 승인을 개별적으로 받지 않고, 각 판매자가 진행하는 절차만으로 자신의 입점 페이지에 자유롭게 상품을 게시하고 판매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라쿠텐은 시장에 상품을 판매하거나, 판매된 상품을 삭제하는 권한을 가지지 않으며, 시스템상으로도, 일심 피고인이 라쿠텐 시장에서 특정 상품의 판매를 사전에 중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라쿠텐 시장에서의 일심 피고인의 수수료는 성립된 매매 계약의 매출의 2~4%이며, 이는 실제 쇼핑몰의 임대 계약에서의 임대료 비율(매출의 5~10% 정도)에 가깝고, 오히려 더 낮으므로, 판매자로서의 책임을 전제로 한 마진율이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항소심의 판단
지적재산고등법원은, 논점1에 대해,
상표법은 그 제37조에서 침해로 간주하는 행위를 법정하고 있지만, 상표권은 ‘지정상품 또는 지정서비스에 대해 등록상표의 사용을 하는 권리를 독점하는’ 권리이며(동법 25조), 상표권자는 ‘자신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해, 그 침해의 중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다'(동법 36조 1항)이므로, 침해자가 상표법 2조 3항에 규정하는 ‘사용’을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사회적·경제적인 관점에서 행위의 주체를 검토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며, 상표법이 간접침해에 관한 위의 명문규정(동법 37조)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표권 침해가 되는 것은 위의 명문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정된다고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동일
로서, 상표권 침해는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판시하고, ‘Chupa Chups’의 주장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논점2에 대해서는, 웹페이지의 운영자(몰 운영자)는,
- 운영자라 할지라도, 입점자에 의한 출품이 제3자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인식, 인정하게 된 경우, 동법 위반의 방조범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
- 운영자는 입점자와의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입점료나 시스템 이용료라는 영업상의 이익을 얻고 있다는 것
- 운영자는 상표권 침해 행위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을 때, 입점자와의 계약에 의해, 콘텐츠의 삭제, 입점 중지 등의 결과 회피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
등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운영자의 책임에 대해,
입점자에 의한 상표권 침해가 있는 것을 알았을 때 또는 알 수 있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게 된 경우, 그 후의 합리적 기간 내에 침해 내용의 웹페이지에서의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위의 기간 경과 후부터 상표권자는 웹페이지의 운영자에 대해, 상표권 침해를 이유로, 입점자에 대한 것과 동일한 차단 청구와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다.
동일
하였습니다. 그러나, 본 사건의 경우에는, 라쿠텐시장이 상표권 침해의 사실을 알았을 때부터 8일 이내라는 합리적 기간 내에 모두를 삭제하고, 시정한 것으로 인정되므로, 상표권을 불법적으로 침해한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또한, 부정 경쟁 행위에 해당한다고도 할 수 없어서, 항소를 기각하였습니다.
웹의 운영자는, 상표권자 등으로부터 상표법 위반의 지적을 받았을 때, 그 침해의 유무를 신속하게 조사해야 하며, 이를 이행하고 있는 한, 상표권 침해를 이유로 차단이나 손해배상의 책임을 부담할 필요는 없지만, 이를 게을리했을 때는, 입점자와 동일하게, 이러한 책임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결론
‘Chupa Chups’ 사건에서의 지적재산고등법원 판결은 엄밀히 말해 라쿠텐 시장의 입점자 관리·통제 상황을 고려한 것이지만, 상표권 침해에 대해선, 적어도 해당 불법 행위를 알게 된 이후에는 신속한 대응을 하지 않고 방치하면, 몰 운영자 자신도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것을 판시한 것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당사에서 제공하는 대책 안내
모노리스 법률사무소는 IT, 특히 인터넷과 법률의 양면에 높은 전문성을 가진 법률사무소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상표권을 둘러싼 지적재산권이 주목받고 있으며, 법률 검토의 필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지적재산에 관한 솔루션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 기사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