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스포츠에서 선수의 이적 제한과 법적 과제

상담 사례와 기본적인 법적 견해
e스포츠 팀 운영자로부터 소속 선수의 다른 팀으로의 이적 방지를 위한 계약상의 이적 제한에 대한 법적 관점에서의 검토가 요청되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선수 육성 비용 보호라는 관점에서 일정한 합리성이 인정되지만, 일본 헌법상의 권리 보장 및 경쟁법 규제와의 관계에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적 제한을 둘러싼 법적 환경
스포츠 비즈니스의 발전에 따라 선수 이적에 관한 법적 문제는 이전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e스포츠 분야에서는 급속한 시장 확대와 세계화를 배경으로 선수 이적에 관한 법적 규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적 제한에 관한 기본적인 법적 논점으로는 헌법상 보장된 직업 선택의 자유와의 정합성이 있습니다.
일본 헌법 제22조 제1항은 모든 국민에게 직업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며, 이 권리는 경기 선수로서의 활동에도 미칩니다.
따라서 지나치게 엄격한 이적 제한은 이 헌법상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그 효력이 부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계약법상의 고찰
경업 회피 의무의 관점에서의 검토
이적 제한 문제는 법적으로 경업 회피 의무의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점에 관해, 판례(포세코 리미티드 재팬 사건・나라지방법원 판결 쇼와 45년(1970년) 10월 23일 판시 624호 78페이지)에서는 경업 회피 의무의 유효성에 대해 다음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는 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제한을 부과하는 목적의 정당성이 검토됩니다.
e스포츠 팀에 의한 선수 육성에 대한 투자 보호라는 관점은 일정한 정당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목적을 넘어 단순히 경쟁을 제한하려는 의도에 기반한 제한은 정당성을 결여한 것으로 평가될 것입니다.
둘째, 대상이 되는 선수의 지위나 역할이 고려됩니다.
톱 레벨 선수에 대한 일정한 제한과 육성 단계의 선수에 대한 제한에서는 그 합리성 판단도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경업 제한의 범위의 적정성이 문제됩니다.
기간, 지리적 범위, 경업의 형태 등이 목적과의 관계에서 과도하게 광범위하지 않은지가 검토됩니다.
넷째, 제한에 대한 대가 조치의 존재와 그 충분성이 고려됩니다.
적절한 보수나 육성 기회의 제공 등, 선수에 대한 구체적인 이익 제공의 내용이 중요합니다.
이상의 요소를 고려하여 합리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공서양속 위반(민법 제90조)으로 무효가 된다고 판시되고 있습니다.
계약 해제의 가능성
계약 형태에 따라 선수 측에서의 계약 해제 가능성도 달라집니다.
고용 계약으로 구성되는 경우, 민법 제627조 제1항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이라면 선수로부터의 해약 신청 후 2주가 경과하면 계약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간의 정함이 있는 계약의 경우에도, 노동기준법상의 ‘노동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14조 제1항에 의해 3년을 초과하는 기간의 계약이 금지되며, 더 나아가 같은 법 제137조에 의해 계약 기간의 첫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후에는 언제든지 퇴직할 수 있습니다.
계약이 고용 계약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판례상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계약 해제가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도쿄지방법원 판결 헤이세이 13년(2001년) 7월 18일 판시 1788호 64페이지에서는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의 해제가 인정되었습니다.
또한, 도쿄지방법원 판결 헤이세이 12년(2000년) 6월 13일 판타 1092호 199페이지에서는 준위임계약 또는 이와 유사한 무명계약으로서, 민법 제651조 제1항의 유추 적용에 의해 계약 해제가 인정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도쿄고등법원 판결 헤이세이 29년(2017년) 1월 25일 판시 2355호 13페이지에서는 당사자 간의 신뢰 관계가 파괴된 경우의 해제가 인정되었습니다.
경쟁법 관점에서의 상세 분석
글로벌 법규제 동향
e스포츠의 특징 중 하나는 그 활동이 글로벌하게 전개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각국의 경쟁법과의 관계도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됩니다.
유럽에서는, 보스만 판결(Union Royale Belge des Societes de Football Association v. Jean-Marc Bosman (Case C-415/93) (1995))이 중요한 선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는 EU 내에서 선수의 이적 자유가 EU법상 노동자의 이동 자유 관점에서 보호된다는 것이 명확히 나타났습니다.
또한, 2017년 12월 국제 스케이트 연맹에 대한 유럽위원회의 결정은 스포츠 단체에 의한 선수 활동 제한에 대한 경쟁법 적용 가능성을 명확히 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결정은 e스포츠 분야에서의 선수 활동 제한에 대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미국에서는, Mackey v. National Football League 판결(543 F.2d 606 (8th Cir.1976))을 비롯하여, 프로 스포츠에서의 선수 이적 제한에 관한 반트러스트법상의 판단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판례들은 이적 제한이 경쟁법상 허용되는 범위에 대해 중요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일본에서의 경쟁법 평가
일본에서도, 2018년 2월 15일에 공표된 공정거래위원회 “인재와 경쟁 정책에 관한 검토회 보고서”에서 스포츠 선수에 대한 이적 제한이 독점금지법상의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동 보고서에서는 이적 제한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요소로 다음과 같은 점이 제시되었습니다.
첫째, 제한의 내용이나 기간이 목적에 비추어 과도하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사실상 장래의 이적이나 전직이 불가능하게 되는 제한은 그 불이익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됩니다.
둘째, 선수에 대한 대가 조치의 존재와 그 수준이 고려됩니다.
제한에 상응하는 충분한 대가가 제공되고 있는지가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됩니다.
셋째, 제한을 부과함에 있어 선수와의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졌는지라는 절차적 측면도 평가의 대상이 됩니다.
넷째, 다른 선수와의 비교에서 차별적인 취급이 없는지도 고려됩니다.
실무상 대응 지침
위의 법적 분석을 바탕으로, e스포츠 팀이 선수와의 계약에서 이적 제한을 설정할 경우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먼저, 이적 제한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그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제한에 그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제한 기간이나 지리적 범위를 합리적인 범위로 제한하여 선수의 커리어 형성에 과도한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이적 제한에 대한 적절한 보상 조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는 금전적 보상뿐만 아니라, 선수의 기술 향상이나 커리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도 포함됩니다.
또한, 이적 제한에 관한 계약 조항 설정 시에는 선수와 충분한 협의를 진행하여 그 내용에 대해 상호 이해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방적인 제한의 강요는 이후 분쟁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계약 내용을 검토하여 선수와의 신뢰 관계를 유지·강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e스포츠 업계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환경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계약 내용을 조정해 나가는 자세가 요구됩니다.
총괄
e스포츠 선수의 이적 제한에 대해서는, 헌법상의 권리 보장, 계약법, 경쟁법 등 다각적인 법적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특히, 글로벌하게 전개되는 e스포츠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국제적인 법규제의 동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적 제한을 설정할 때는, 팀의 정당한 이익 보호와 선수의 권리 보장 간의 균형을 적절히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제한은 법적 리스크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선수의 동기 저하와 팀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e스포츠 업계의 발전에 따라, 이적 제한에 관한 법적 문제는 더욱 중요성을 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 팀에서는 법적 리스크의 적절한 관리와 선수와의 좋은 관계 구축을 목표로 한 노력이 요구됩니다.